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우영 장인 김치선 교수

현우영 장인  김치선 교수

 
 
 

제주출신 현우영씨(27)가 지난달 7일 미국에서 국제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서울 소재 대일외국어고를 나와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현씨는 휘트워쓰대학을 졸업하고 사우스캘리포니아대학에서 국제금융학 석사학위를 받은 뒤, 지난 97년 9월 UCLA대학의 로스쿨에서 3년 과정을 마쳤다.

 현재 애리조나대학 박사과정에서 회계학을 전공중인 그의 변호사 활동의 전문분야는 증권투자다. 

현씨는 최근 미국증권감독위원회(SEL)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아 곧 SEL에서 일하게 되는데 SEL에는 현재 한국출신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현경대의원(제주시)의 2녀1남중 외아들인 그는 지난해 7월8일 모친(고 김성애여사) 1주기날에 국제변호사 자격시험이 겹쳐 귀국하지 못해 매우 안타까와했다.

 그의 이번의 일시 귀국은 모친상 당시 부의금과 예금등 1억5천만원으로 출범한‘김성애권사 장학회’에 최근 가족들이 모은 2천만원이 기금으로 추가되면서 지난 3일 열린 장학회이사회에 참석하기 위한 것.

신한국당 현경대 국회의원

 “미국증권감독위원회에서 일하면서 한국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길도 찾아보겠다”고 말하는 현씨는 “경제는 경제논리로 풀어야지 정치논리가 개입돼선 안된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국제자유도시로 추진되는 등 세계로 도약하는 고향 제주도를 항상 가슴속에 품고 열심히 노력하는 삶을 살고 싶다”고 말했다.

출생 프로필

1939년 2월 21일 (84세)

전라남도 제주도[4] 제주읍 노형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5]#

현직

평화문제연구소 이사장

법무법인 우리 고문변호사

재임기간

제5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총장(장관급)

1990년 3월 19일 ~ 1991년 12월 31일

제15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2013년 5월 3일 ~ 2016년 1월 5일


1939년 2월 21일 전라남도 제주도 제주읍 노형리(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에서 아버지 현도구(玄道久)[8]와 어머니 광산 김씨 김병운(金炳雲)의 딸 사이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오현고등학교(8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5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근무하였다.

1981년 검사직을 사임하고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제주도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5월 민주정의당에 입당하였다. 1984년 민주정의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7년 민주정의당 원내수석부총무에 임명되었다.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간사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을 기초하는 데 관여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9년 제5대 민주평화 통일자문회의 사무총장(장관급)에 임명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선 후 민주자유당에 복당하였고 199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5년 민주자유당 원내총무에 선출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탄핵 역풍에 휘말려 자신의 비서관 출신인 열린우리당 강창일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친박으로 분류되어 김동완에 밀려 공천 탈락,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역시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다시 새누리당으로 돌아와 재출마하였으나 이번에도 강창일 의원에게 밀려 3연패를 당했다.

2013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맡았다. 그러나 19대 총선 당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수사를 받기 시작하자 2015년 12월 1일 사의를 표명했다. #. 위 사건을 이유로 불구속 기소되었으나, 1심, 2심에서 연달아 무죄를 선고받고 2018년 6월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되었다. 

'친박 원로', '박근혜 대통령의 자문위원' 이라고 불리는 '7인회'의 멤버 중 한 명이다.

여담

5.16 장학회(후에 정수장학회가 됨) 1기 장학생 중 한 명이다.

박근혜와 직접 대면한 것은 1997년부터라고 한다. 

마지막 제주시내 지역(동 지역) 출신 제주시 지역구 국회의원이다. 이후 제주시 지역구 국회의원들은 구 북제주군 출신[12]이거나 구 남제주군 출신[13], 서울특별시[14]이다

영락교회 은퇴장로이며, 본인과 아들이 영락교회에서 결혼식을 치렀다.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가족관계

장인은 한국 노동법학의 개척자 중 한 명인 김치선 교수(1922 ~ 1996), 아내는 김성애(金聖愛) 여사[15], 아내와의 사이에서는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는데, 그 중에 차녀가 현소혜(玄昭惠)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고, 장남 현우영은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미국변호사, 맏사위는 이연갑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다. 둘째 사위(정상수)도 변호사인데, 둘째 사위네 법무법인에서 고문변호사를 맡고 있다.

소속 정당

신한국당 지금의 국민의힘